경제신문 읽기/증권

[경제신문 읽기] 주가 폭락 개장에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발동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작가윤 2020. 3. 13. 11:08
반응형

출처 : 연합뉴스

 

주가 폭락 개장에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발동(종합2보) | 연합뉴스

주가 폭락 개장에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발동(종합2보), 곽민서기자, 경제뉴스 (송고시간 2020-03-13 10:02)

www.yna.co.kr

 

 

코스닥 서킷브레이커 4년 1개월 만에 처음…증시 사상 11번째

더보기
서킷브레이커 : 주식 매매 일시 정지 제도.

 

13일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개장 직후부터 동반 폭락하면서 시장 매매거래가 일시 중단됐다.

 

 

이는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됨에 따른 것으로, 이후 20분간 코스닥시장의 매매거래가 중단됐다.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KRX300 선물 상품을 제외하고 코스닥시장 기초자산 관련 파생상품(스프레드 포함)의 매매거래가 오전 9시 4분부터 20분간 중단됐다.

 

 

1단계 발동 당시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6.86포인트(8.31%) 하락한 516.63을 가리켰다.

 

 

발동이 해제되고 거래가 재개된 오전 9시 43분 기준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4.70포인트(7.93%) 내린 518.79를 나타냈다.

 

 

코스닥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북한 리스크가 부각됐던 지난 2016년 2월 12일 이후 4년 1개월 만에 처음이다.

 

그동안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합친 국내 주식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01년 미국 9·11 테러 당시 등 총 10차례 발동됐다.

 

 

서킷브레이커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등락할 때 시장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로, 국내 유가증권시장에는 1998년 12월, 코스닥시장에는 2001년 10월에 각각 도입됐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는 코스닥150지수 및 코스닥150 선물이 급락하면서 오전 9시 38분 34초에 사이드카도 추가로 발동됐다.

더보기
사이드카 :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변동한 시세가 1분간 지속될 경우,
주식시장 프로그램 매매 호가의 효력이 5분 간 정지되는 것. 

이에 따라 코스닥시장의 프로그램 매매는 5분간 정지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도 이날 오전 9시 6분 2초에 유가증권시장의 프로그램 매도호가의 효력을 일시 정지하는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이는 코스피200 선물 최근월물이 기준 가격인 전일종가 243.80포인트(p)에서 229.90p로 13.90p(5.70%)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된 데 따른 것이며, 발동 직후 5분간 유가증권시장의 프로그램 매매거래가 정지됐다.

 

 

사이드카는 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 프로그램 매매 호가를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램 매매가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로, 유가증권시장에는 지난 1996년 11월, 코스닥시장에는 지난 2001년 3월에 각각 도입됐다.

반응형